FACTS(사실, 객관) 이번 일주일 동안 있었던 일, 내가 한 일
1. Git 활용을 위한 특강 복습
a) git bash 명령어로 파이썬 기초복습반 과제 git hub 업로드
2. 파이썬 기초복습반
a) 과제2 : 가위바위보 게임 심화 (2선승제, 모듈화)
b) 과제3 : 원 넓이 구하기 (class)
3. 자료구조, 알고리즘
4. 장고 입문 가이드 특강
5. 파이썬 장고 실무 기초
6. 파이썬 타임어택
7. 장고 기초복습반
FINDINGS(배운 것) 그 상황으로부터 내가 배운 것, 얻은 것
1. 소스트리가 아닌 명령어로 add, commit, push, pull 등 실습하면서 낯선 CLI환경에 익숙해져보려 노력했다. 로컬repo에서 작업을 마치고 원격repo 생성 시 README파일을 자동 생성한 탓에 오류가 있었지만 해결방법도 찾았고 이번 오류를 고치면서 다음번에는 작업 순서를 바꾸거나 원격repo 생성 시 옵션 설정을 주의해야겠다고 느꼈다.
2. 기존 가위바위보 게임을 2선승제로 수정하는 과정에서 while문 조건을 잘못 작성하여 실행하자마자 바로 종료되버리는 오류를 겪었다. 봐도봐도 해결이 안나 튜터님께 질문드렸는데 원인은 바로 부등호와 or 부분이었다. 예전에도 실습하면서 부등호를 헷갈려서 오류를 겪었는데 은근 헷갈리기 쉬운 부분이라 부등호는 쓸 때 꼭 주의를 기울여야겠다고 생각했다.
3.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란 개념에 대해 배웠고 알고리즘 문제를 올바른 값을 출력하는 것뿐만 아니라 시간 복잡도까지 유념해서 효율적인 코드로 작성해야한다는 것을 배웠다. 시간 복잡도는 입력값의 크기와 문제해결 소요 시간의 상관 관계를 뜻하는데, 계산 시 영향이 제일 큰 (입력값의 길이)N의 지수를 비교한다. 또 면접 단골 질문인 어레이와 링크드 리스트에 대해서도 배웠다. 이 두 자료구조의 특징을 잘 활용해 원소를 추가 및 수정할 경우가 많다면 링크드 리스트를, 자주 원소 데이터에 접근한다면 어레이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것을 배웠다. 앞으로 이를 활용해 상황마다 알맞은 자료구조를 사용해볼 수 있게 되었다.
4. 장고 시작 전 큰 흐름을 익힌 강의였다. 웹 서비스 중 제일 중요한 부분은 데이터 베이스인데 해당 데이터 베이스가 무얼 담고 있으며 그 설계 구조에 따라 성능도 좌우되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하셨다. 장고란 웹 프레임워크이며 데이터 간 흐름이 제일 중요하단 점을 배웠고 따라서 다음 학습할 장고 강의에서 이 점의 유념하여 강의를 수강했다. 추가로 가상환경 생성과 on/off 그리고 해당 가상환경에서의 패키지 설치방법을 배웠다. 파이참에선 클릭 몇번으로 간단히 작업할 수 있었지만 파이참 외 환경에서도 가상환경을 다룰 수 있어야하기 때문에 이 내용도 다음에 혼자 실습하면서 익혀봐야할 것 같다.
5. 막상 강의를 듣고 실습을 하다보니 정말 여러개의 파일들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게 되는데 이 흐름을 파악하는게 쉽지 않았다. 파일 갯수도 기존 강의 실습에서 다루던 것 보다 훨씬 많아지고 데이터 베이스 사용에, 터미널 명령어 사용까지 활용범위가 이전 강의들보다 넓어지다보니 강의를 소화하기엔 꽤나 긴 시간이 필요했다.
6. 강의 내용에서 출제된 문제라 문제 자체는 크게 어려울 것 없는 것 같았지만, 아차하고 지나친 부분이 출제되어 제대로 답변하지 못해서 틀리고 내림차순이 아닌 올림차순으로 출력하여 틀리기도 했다. 축약식 부분은 바로 떠오르지 않아서 for문으로 먼저 작성해보고 축약식으로 수정하느라 시간이 많이 걸렸지만 그래도 정답을 맞출 수 있어 다행이었다.
7. 파이썬 장고 실무 기초 원격강의에서는 파이참으로 실습이 진행되어 가상환경이나 환경변수 등 추가적으로 세팅할 부분이 적었는데 해당 복습강의에서는 vscode로 진행되어 애를 먹었다. 처음 기초 세팅부터 오류로 막혀서 진을 뺏다. 익숙치 않은 환경에서 다시 시작하려니 어려웠다.
FEELINGS(느낌, 주관) 과정에서 느낀점과 생각
이번주는 정해진 진도를 따라가기 너무 벅찼다. 분량도 많고 단번에 이해하기 어려우면서 실습이 복잡한 부분이라 더 그랬던 것 같다. 파이참에서는 쉽게 진행되었던 부분이 vscode에서는 추가로 세팅해줘야하는 게 많아서 어려웠다. 늘 그렇듯 하다보면 익숙해지겠지만 이번주는 유독 주어진 학습 분량이 많아서인지 학습 속도가 더뎠다. 정해진 진도를 소화하기에 체력도 부족해 어려웠지만 작은 거 하나씩 하면서 따라가봐야겠다. 또 이 많은 학습분량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나만의 방법을 찾고 시도해봐야겠다. 강의 첫 수강에 한번에 이해도 하고 내용도 정리하고 실습도 모두 해내려고 하다보니까 진도가 느려진 것 같다. 첫 수강에 너무 많은 것들을 욕심내다보니까 정신이 없었다. 첫 강의는 이해 위주로 큰 줄기를 학습하고 두번째 복습 때 키워드 및 강의내용의 흐름을 정리하는 방식 등 여러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조급해하지말고 차근차근 해보자.
FUTURE(미래) 배운 것을 미래에는 어떻게 적용할 지
- 첫 강의는 이해 위주로 학습하고 두 번째에는 흐름과 키워드를 글로 정리
- 반복문 조건 작성 시 부등호, or/and 주의
- 장고 실습 시 데이터 흐름 체크
'회고 > WIL : Weekl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L] 221009 내일배움캠프 6주차 (0) | 2022.10.09 |
---|---|
[WIL] 221002 내일배움캠프 5주차 (0) | 2022.10.02 |
[WIL] 220918 내일배움캠프 3주차 (0) | 2022.09.18 |
[WIL] 220911 내일배움캠프 2주차 (0) | 2022.09.11 |
[WIL] 220904 내일배움캠프 1주차 (1) | 2022.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