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739번
for문으로 a_list 속 숫자 1부터 9까지 돌면서
입력받은 n을 곱하고
각각 n, a, b의 값과 필요한 문자를 함께 출력
a_list = [1, 2, 3, 4, 5, 6, 7, 8, 9]
n = int(input())
for a in a_list:
b = n*a
print(n,'*',a,'=',b)
2. 10950번
입력된 t의 값 만큼 돌면서 a, b 값을 추가로 받고 a+b를 출력
t = int(input())
for i in range(t):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b)
3. 8393번
range 괄호 안 해당 숫자는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range(n+1)로 입력
sum이란 변수에 i만큼 더하고 출력 ( sum += i sum 변수에 i를 더한 결과를 다시 sum으로 할당)
* 들여쓰기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마지막 최종값뿐만 아니라 중간과정 값이 모두 표기되기 때문에 주의
range(횟수)
range(시작숫자, 종결숫자)
range(시작숫자, 종결숫자, 간격숫자)
range는 종결숫자 전까지만 실행함.
n = int(input())
sum = 0
for i in range(n+1):
sum += i
print(sum)
4. 25304번
N만큼 반복하면서
입력받은 a, b를 곱하고 변수 result에 다시 반환
result가 X와 같을 경우 Yes 출력, 나머지는 No 출력
X = int(input())
N = int(input())
result = 0
for i in range(N):
a, b = map(int, input().split())
result += a*b
if result == X:
print('Yes')
else:
print('No')
5. 15552번
문제 안내대로 sys.stdin.readline()을 사용하기 위해 import sys 입력
처음엔 4번처럼 변수(result)를 추가했지만 print에서 바로 a+b를 작성하는 것과 결과는 같기 때문에 필요없는 변수는 삭제
import sys
T = int(input())
for i in range(T):
a, b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print(a+b)
6. 11021번
지난 파이썬 기초 문법 강의에서 알게된 f-string을 활용해 결과를 출력
i는 요소의 순서를 의미하고 0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1을 붙여주어 Case 번호가 1부터 시작하도록 작성
T = int(input())
for i in range(T):
A, B = map(int, input().split())
print(f'Case #{i+1}: {A+B}')
7. 11022번
앞 번호 문제에 A와 B가 추가된 출력 형태
T = int(input())
for i in range(T):
A, B = map(int, input().split())
print(f'Case #{i+1}: {A} + {B} = {A+B}')
8. 2438번
반복문을 돌면서 star에 i+1만큼 곱해서 출력
(앞문제와 같이, i는 0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1을 더해줘야 입력한 T만큼 별이 늘어난 것을 확인 할수 있음)
T = int(input())
star = '*'
for i in range(T):
print(star*(i+1))
9. 2439번
출력할 공백의 갯수를 먼저 계산하고 계산된 값에 공백문자를 곱함
그리고 기존 출력되던 별을 더해줌
공백 갯수는 T에서 별의 갯수(i+1)를 뺀 갯수이기 때문에
print에서 바로 계산식을 넣어도 되지만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space 변수를 추가
T = int(input())
star = '*'
for i in range(T):
space = T-(i+1)
print(space*' '+star*(i+1))
10. 10871번
N만큼 돌고
만약 A의 i번째값이 X보다 작다면 해당값(A[i])를 출력하고 개행(줄바꿈)을 없애줌 (end=" ")
N, X = map(int, input().split())
A = list(map(int, input().split()))
for i in range(N):
if A[i] < X:
print(A[i], end=" ")
11. 10952번
while문 True로 무한루프로 만들어주고
a, b 값을 받아
만약 두 값이 모두 0일 때 break,
나머지 경우에는 서로 곱셈
while True:
a, b = map(int, input().split())
if a == 0 and b == 0:
break
else:
print(a+b)
12. 10951번
기본적으로 a, b 값을 받고 곱셈하지만 예외상황일 때 무한루프가 멈추도록 작성
while True:
try:
a, b = map(int, input().split())
except:
break
print(a+b)
13. 1110번
'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협업을 위한 Git 활용 기초] 1주차~3주차 과제 (0) | 2022.09.08 |
---|---|
[파이썬 실시간 강의] 220906 과제1 (0) | 2022.09.06 |
[웹 프로그래밍 A-Z 기초] 5주차 과제 (0) | 2022.09.04 |
[웹 프로그래밍 A-Z 기초] 4주차 과제 (0) | 2022.09.04 |
[웹 프로그래밍 A-Z 기초] 3주차 과제 (0) | 2022.08.30 |